3월 31일, 오세훈은 그가 서울 시장이던 때 발생한 용산참사를 두고 “과도하고 부주의한 폭력행위를 진압하기 위한 경찰력 투입으로 생긴 것”이라고 망언했다. 그러나 이는 명백한 왜곡이다.
용산참사는 2009년 1월 19일,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된 용산 4지구 세입자들이 이주 대책을 요구하며 건물 옥상에 망루를 세워 농성하자, 이튿날 경찰특공대를 투입해 강제 진압하는 과정에서 철거민 5명과 특공대원 1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당시 강제 진압은 특공대 제대장마저 안전 조치가 부족하니 작전을 연기하자고 요구했을 만큼 무리한 작전이었다.
용산참사의 배경엔 ‘뉴타운 재개발 정책’이 있었다. 위 정책에 따라 용산 4지구에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 추진됐고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그러나 여기서 수십 년 장사하던 세입자들은 적절한 보상 대책도 없이 한겨울에 길거리로 쫓겨나야 했다.
12년 후, 오세훈이 또 재개발 정책을 내세우며 당선됐다. 같은 역사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건설자본 등의 개발 이익을 위해 철거민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던 용산참사의 비극을 잊지 말아야 한다.
월간 정치신문 <노동자투쟁> 17호 2면(2021년 4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