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동자계급의 해방은 노동자계급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 칼 마르크스
행신 KTX 정비기지
 

철도 행신 현장신문 56호


  • 2025-03-28
  • 183 회

56001.jpg

 

56002.jpg

 

32교대로 돌아가라고?

국토부가 오봉역 사망사고, 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사고를 구실로 42교대를 32교대로 환원하라고 통보했다. 한마디로 황당하다. 노사가 합의해 이미 14,000명이 적응해 가고 있는 근무패턴을 통보 하나로 무력화하겠다는 것도 황당하고, 32교대의 야야가 사고위험이 더 높다는 점을 무시하는 것도 황당하다. 잇따른 사고의 핵심 원인은 인력부족인데, 인력은 안 주고 노동자만 때려잡으려고 하는 것도 황당하다.

 

철도가 인원 감축 1순위

공공 전체에서 12,442명을 감축하는 구조조정 안을 기재부가 내놨다. 철도가 722명으로 최대다. 철도노조가 정부에 맞서 투쟁해온 주된 이유가 바로 인력부족 문제였다. 적은 인원이 많은 일을 하니까 산재가 빈발하고 사망자도 많이 나온다. 그런데 오히려 지금보다 인원을 줄이겠단다.

정부는 인건비 몇푼 아낄지 몰라도 인력부족과 외주화는 철도노동자 안전 문제로, 더 나아가 승객 안전 문제로 이어질 것이다. 인력감축도 안 되고, ‘청년노예제인 청년인턴 늘리는 임시방편으로도 안 된다. 정규직 인력을 확충하라!

 

KTX 궤도이탈 - 고속철 정비 민영화 말라

1년 전인 2215, 대전~김천구미역 사이에서 KTX가 궤도를 이탈했다. 이 사고의 여파로 고속철 바퀴 432개를 교체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번에 사고조사위가 바퀴 제작결함이 사고 원인이라고 발표했다. 국토부나 보수 언론은 사고만 나면 코레일 독점이 문제라며 고속철 차량 정비, 유지보수의 민간 이관(민영화)을 제기하는데, 이번 결과는 오히려 민영화의 위험성을 보여주고 있다.

 

철도 민영화의 판도라 상자가 열렸다

민주당 조응천 의원이 결국 철도 유지보수 민간위탁을 허용하는 철도법 개악안을 발의했다. 철도 민영화 세력은 철도를 위(열차), 아래(선로)로 쪼개고, 고속철을 코레일과 SR로 나눈 것으로도 모자라 이제 시설유지보수 업무(9,000)도 코레일에서 떼어내 민간에 위탁하려 한다. 자본가 배 불리는 철도민영화는 주 80시간 노동을 강요하는 노동개악과도 궤를 같이 한다. 철도민영화, 노동개악 반대를 내걸고 노동자들의 힘을 모아야 한다.

 

염화칼슘은 죄가 없다

선로 위에 내리는 눈만 보면 너무 예쁘고 좋다. 하지만, 눈 녹이느라 뿌린 염화칼슘이 객실 바닥에 하얗게 묻어 있는 건 너무 싫다! 안 그래도 일이 많아 힘든데, 하얀 얼룩 지우느라 더 힘들기 때문이다. 인원은 부족한데 더 힘들게 일하려니 염화칼슘이 싫어질 수밖에!

 

클수록 쩨쩨하게?

한 달만 일하는 일용직 동료들에게는 직원 출입증이 없다. 그래서 그들은 출근할 때 경비실에 가서 신분증을 맡기고 출입 명부를 작성한 다음, 퇴근할 때 신분증을 돌려받아야 한다. 줄 서서 출입 절차를 밟다 보면 10분이 흘러가기도 한다. 이걸 한 달 내내 해야 한다!

코레일 테크는 5,000명 넘는 직원에 철도기술전문을 내세우는 공공기관이다. 하지만 더 적은 임금으로 노동자를 부리기 위해 일용직을 채용하면서 출입증 발급 비용까지도 아끼고 싶은 거 같다.

 

사고 위험은 공평하다

우리와 함께 일하는 일용직 동료들에게는 자전거도 한참 늦게 지급됐다. 400m 넘는 착선을 왔다갔다하고 검수고와 청소선을 오고 가려면 자전거는 필수다! 자전거 없이 맨다리로 걸으면 하루에만 4만 보 이상 걸었을 것이고 발이 팅팅 부었을 것이다. 심지어 이들에겐 안전화도 지급하지 않았다.

안전하게 근무하려면 작업도구는 필수다. 그리고 안전사고는 사람을 가리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에게 작업도구를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건 부당한 차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