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총인건비? 원래 안 되는 게 어딨니!
정률수당 소송에서 철도노조가 이겼다. 애초에 노사합의 내용을 사측이 무리하게 해석해서 임금을 삭감하려던 게 문제였다. 그런데 이제는 정률수당 미지급분을 끌어오느라 임금 인상할 돈이 없다고 말한다.
사측은 늘 제도 뒤에 숨는다. 결정은 기재부가 하는 거야~, 총인건비 지침을 지켜야 감사에서 무사히 넘어가~ 그러나 불합리한 지침은 맞춰줘야 하는 게 아니라 투쟁으로 폐지해야 한다!
■ 여름에 더운 걸 누가 몰라
구형 열차 중에는 운전실 냉방이 시원찮은 차들이 있다. 이전보다 많이 줄긴 했지만, 운 나쁘게 더운 열차가 걸리면 고생이다. 아직 초여름인데 미니선풍기 놓고 운전하기도 한다. 기술적인 해결 방안이 뭐가 있을지 논의한다고 하는데 여름이 더우리란 건 예상하지 못했나? 여름 되고서야 해결책을 얘기하는 게 우스꽝스런 일이다.
■ 망둥이가 뛰니 꼴뚜기도 뛴다
최근 윤석열 정부는 노조를 옥죄려고 타임오프제로 노조 간부들의 활동 시간을 강하게 통제해 왔다. 그러자 이제 코레일 사측도 노사협의 근무협조를 제대로 안 하고 있다. 교번 사업장은 일근 사업장과 근무패턴이 엄연히 다른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하루 단위가 아닌 시간 단위로 근무협조를 하겠다고 한다. 노조 간부들에게 부담을 많이 주고 괴롭혀 노조 활동을 위축시키려 하는 것이다. 노조를 위축시켜 인력감축, 운전실 감시카메라, 민영화‧외주화, 임금‧복지 삭감 등을 자기들 맘대로 밀어붙이고 싶은 것이다.
■ 오늘도 무사히?
최근에도 구로역 승강장 1-1에서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사람이 끼이는 일이 발생했다고 한다. 다행히 맨 뒤에서 차장이 육안으로 발견해 조치를 취하긴 했지만, 이런 경우 자칫하면 대형사고가 날 수 있다. 올해는 폭염, 폭우가 더 심해진다는데, 스크린도어가 더 자주 말썽을 부리진 않을지, 센서 고장, 센서 사각지대, 인력부족에 따른 스크린도어 고장수리 지연 등으로 사고가 나지 않을지 걱정이다. ‘오늘도 무사히’를 기원하는 것이 안전대책일 순 없다. 이윤보다 안전을 중시하며 안전시설, 안전인력을 늘려야 한다.
■ 언제까지 주 6일제?
코레일 역사를 청소하는 테크 청소노동자들은 아직도 대부분 주 6일 일한다. 쉴 수 있는 날이 너무 적어 힘들다. 월급도 최저임금밖에 못 받는다.
용역업체에서 코레일 자회사로 바뀐 지 오래고, 청소노동자들이 코레일 본사 앞에서 주 5일제 선전전도 꽤 오래 했지만 “변한 건 하나도 없다.” 코레일 사측은 “대한민국의 내일”을 “국민의 코레일”이 열어가겠다고 뽐낼 욕심은 많지만, 정작 ‘주 6일제’ 같은 구닥다리를 없앨 의지는 없다!
■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싫어하는 사측
코레일네트웍스 사측은 현장에서 고충이 접수되면 ‘고충 처리위원회’ 개최 없이 사측 위원 맘대로 얼렁뚱땅 정리해 버린다. 기존엔 노조가 노동자위원을 선임해 사측에 공문만 보내면 됐는데 갑자기 노사협의회를 개최해서 노동자위원을 선임하라고 억지를 부리고 있다. 그리고 노동자위원이 활동한 시간의 임금을 깎기 위해 혈안이다. 사측은 “공공기관이라 법과 제도를 지켜야 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면서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은 지키지 않는 것이다. 현장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듣기 싫은 사측의 앞뒤 다른 입장 때문에 현장의 고충이 쌓여가고 있다.
■ 반복되는 감전 사고!
지난 9일 새벽, 연신내역에서 서울교통공사 전기노동자가 감전 사고로 사망했다. 이 사고는 인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정기점검, 일상점검에 추가로 배전반 전선을 구분하는 스티커 부착 작업까지 하다가 발생했다. 연말까지 완료하기로 한 전선 구분 작업을 빨리하라고 상부에서 독촉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장 여건은 고려하지 않고 실적 쌓기에 혈안이었던 것이다. 제한된 작업시간에 쫓기며 부족한 인원으로 많은 업무를 하느라 ‘2인 1조’ 수칙은 지켜질 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서울시와 서교공은 인력을 더 줄이려 한다!
먹고살기 위해 나온 일터다. 이 일터가 죽음의 일터가 돼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