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동자계급의 해방은 노동자계급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 칼 마르크스
철도 구로
 

철도 구로 현장신문 51호


  • 2025-07-01
  • 108 회

철도 구로 51호001.jpg

 

철도 구로 51호002.jpg

정당한 투쟁, 부당한 징계

9월 투쟁에 대한 보복성 징계가 예견된다. 서울차량에서는 이미 수십 명에게 징계가 떨어졌다. 민영화를 막기 위한 정당한 투쟁에 대해 부당징계로 보복하는 사측은 확실히 정부의 앞잡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정부는 민영화를 계속 추진할 생각이고, 사측은 정부의 뜻을 받들어 다음에 파업을 못하게 하려는 수작이다. 투쟁은 탄압 속에서 더 불타오르는 걸 모르는 걸까?

 

끊임없이 문제가 발생하는 우진차

최근에 우진차 판이 탔다. 경부선 진입할 때는 동력이 끊기기도 했다. 의자도 새로 바꿨다는데 여전히 불편하다. 해가 뜨고 질 때 햇빛을 피하려면 일어나야 하는데 접히지 않아 일어나서 운전할 수 없다. 제동도 들쭉날쭉 불안정하다. 이렇게 문제가 많은 차를 계속 운행하니 기관사들이 힘들어지고 철도 안전이 위협당한다.

 

어디 내놓기 부끄러운 숙소

구로 별관 숙소도 춥다. 빠른 일근일 때 나와서 자야 하는데 추워서 잠을 잘 못 잔다. 동인천, 부천 등 주박지 추위도 심각하다. 전기판넬로 바닥을 데워도 웃풍이 심해서 춥다. 숙소 자체가 문제다. 수천 명의 승객을 태우고 몇십 키로를 왔다 갔다 하는 기관사의 숙소가 이렇다니. 어디 내놓기 부끄럽다.

 

철도에서 하는 짓을 전기에서도!

전기는 철도와 마찬가지로 민영화가 돼선 안 되는 대표적인 공공재다. 그런데 정부가 철도 시설의 유지보수 업무를 민간에 개방하려는 것처럼 전력망(송전) 사업도 민간에 개방하려 한다.

정부는 한전의 방만 경영에 따른 적자를 민영화 구실로 삼고 있다. 그러나 철도와 마찬가지로 한전의 적자도 정부가 고의로 키운 것이다. 정부 정책에 따라 한전은 대기업에 아주 싸게 전기를 공급하지만, 민간발전사로부터는 비싸게 전기를 사 온다.

민간 개방은 하지만 민영화는 아니라는 헛소리도 똑같이 하고 있다!

 

노동자 잡으려다 사람 목숨 잡았다

20054월 일본 효고 현에서 전동차가 탈선해 기관사 1, 승객 106명이 사망했다. 곡선구간에서 무리하게 과속해 발생한 참사다. 왜 과속했는가? 열차 시간표보다 일분일초도 늦으면 안 된다는 사측의 강박증 때문이었다.

정시 운행을 못 지키면 깜지 쓰기, 제초작업, 면담 등 굴욕적인 징계를 줬다. 사고 기관사도 이미 세 차례 징계를 받은 적이 있어 압박을 느꼈을 것이다. 억압적인 노동환경은 모두의 안전을 위협한다.

 

민영화에 신난 자본가 언론들

SR 고객센터가 민영화된 이후로 자본가 언론들이 기만적인 기사를 연이어 내고 있다. 이데일리는 고객센터 운영시간이 하루 15시간(7~22)에서 9시간(9~18)으로 줄었다는 사실은 쏙 빼놓고, 인건비가 줄어들었다고 호들갑을 떤다. 입찰금이 가장 낮은 업체를 선정해 인건비를 줄였다는 점도 다루지 않았다. 중앙일보는 한술 더 떠서 정규직 일자리를 기간제로 바꾼 것을 두고 고령화 시대 시니어 일자리를 창출했다며 칭찬하고 있다.

이번 민영화로 기업의 이윤은 높아졌겠지만 상담 가능시간이 40%나 줄어들어 고객들은 불편해졌고, 일자리는 불안정해졌으며, 상담 노동자들의 업무 강도는 높아졌다. 이것이 자본가 언론이 칭찬하는 민영화의 실체다.

 

차별 없는 동일복지, 출퇴근 보장 실현하라!

철도노조 네트웍스고객센터지부 노동자들이 출퇴근 승차권 차별 폐지를 요구하며 4일부터 서울역 농성에 들어갔다. 관광개발지부와 테크지부도 함께할 예정이다.

코레일 사측이 자회사 노동자에게만 출퇴근 승차권을 보장하지 않는 건 자회사 노동자라는 이유만으로 다르게 대우하는 명백한 차별이다. 국토부는 이런 차별을 해소하기는커녕 자회사 노동자들에게 출퇴근 방식을 소명하라고 협박하고 무임승차했다며 철도경찰에 고발했다.

저들은 자회사 노동자를 ‘2등 노동자취급하며 노동자의 마음에 불을 지피고 있다. 저들은 노동자를 차별한 대가를 치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