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동자계급의 해방은 노동자계급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 칼 마르크스
철도 구로
 

철도 구로 현장신문 49호


  • 2025-07-01
  • 103 회

철도 구로 49호001.jpg

 

철도 구로 49호002.jpg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사기꾼이 많으면?

민주당이 다수인 국회 국토교통위 소위가 민영화 촉진법(철산법 개악안)을 빠르면 1121일에 통과시키려 한다. 유지보수와 운영을 분리하면 사고 위험은 커지고, 유지보수 9,000명의 생존권이 위협받으며, 민영화는 날개를 달게 된다. 그런데도 국민의힘은 물론 민주당 지도부도 철산법 개악이 민영화인 줄도 모른 척해 왔다. 이런 사기꾼이 많으면 철도는 사고로 갈 수밖에 없다. ‘철도 민영화 촉진법 폐기’ 5만 입법 청원을 달성한 철도노동자들이 117일 여의도에 모였고, 2차 파업으로 나아가고 있다. 철도의 미래가 이 파업에 달려 있다!

 

옷 입어 보고 신청하게 하면 안 돼?

지금은 피복을 신청하는 기간이다. 옷을 입어 보고 신청하면 좋은데, 그냥 신청해야 한다. 그러면 100 사이즈를 신청했는데 105 사이즈 느낌이 들게 좀 크게 나올 때도 있어서 난감하다. 업체마다 사이즈가 제각각이라 그렇다. 몸에 안 맞아 사이즈를 바꾸려고 하면 기간이 꽤 걸린다. 추운 날 고생하며 일하는 노동자들의 마음을 이렇게 헤아리지 못하다니! 날씨도 춥지만, 사측의 피복 운영방식은 더 춥다!

 

추위는 이제 시작인데

전철역 안전요원들은 승강장에서 3시간 동안 자리를 지켜야 한다. 특히 구로역은 지하가 아닌 뻥 뚫린 야외라서 겨울 추위가 걱정된다. 열차가 지나가고 잠깐이라도 더위와 추위를 피할 휴게공간도 마땅찮다. 공간이 없으니 더운 날엔 찬 물, 추운 날엔 데운 물 가져가려 해도 놔둘 곳이 없다. 승강장 의자에 두면 승객들이 가져가버린다. 추위는 지금부터 시작인데 손 쬐일 난로도 없다. 뭐라도 대책이 있어야 하지 않나? 건강이 걱정돼서 다가오는 겨울엔 그만둬야겠다고 말하는 사람도 많다.

 

코레일은 차별 백화점?

정규직 대비 80%의 임금 지급을 2018년 노사전문가협의체에서 약속했지만, 코레일 사측은 5년째 나 몰라라 하고 있다. 이동권을 차별받아, 여러 네트웍스 직원이 240만 원 급여 중 교통비로 56만 원(총 급여의 22~23%)이나 내야 한다. 이런 차별도 서러운데, 116120명을 범죄자 취급하며 철도경찰에 출석하라고까지 했다. 인원도 부족해 KTX 승무원들은 4일 일하고 2일 쉬는 6일 주기 패턴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고양차량 기지에선 120여 명의 야간 환경노동자가 휴일이 하나도 없이 야비야비로 일하고 있다. 117, 철도공사 자회사지부들이 기자회견에서 요구한 대로 차별을 하루 빨리 철폐해야 한다!

 

질서지킴이명칭 왜 못 바꾸는데?

질서지킴이는 지하철 보안관 역할을 하지만 노인 공공일자리인 지하철 지킴이와 이름이 비슷해 열차 내 질서 저해 행위자에 대한 단속 및 계도에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교섭을 통해 직무 명칭 변경을 요구했고 사측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었다. 그런데 보안’, ‘안전등이 들어가면 원청이 안전 업무를 더 떠넘길 우려가 있어 안 된다며 말을 바꿨다. 마치 현장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처럼 말하는데, 말은 똑바로 하자. 원청 눈치 보여 이름도 못 바꾼다고!

 

철도 민영화 공공재를 민간자본의 돈벌이 수단으로

정부는 철도 운영에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면 국가 재정부담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실제론 민간사업자의 수익을 보전해주기 위해 국가 보조금을 쏟아붓고 있다. 민자사업의 대표 실패 사례인 인천국제공항철도엔 현재까지 국가 보조금이 42,300억 원 투입됐다. 민간 자본의 투자액보다 7,000억 원 더 많다. 이게 어떻게 효율적인가? 자본가 배불리기가 효율인가?

민간사업자는 여러 방식으로 정부로부터 최소한의 수익을 보장받는다. 특정 노선을 독점하므로 손쉽게 요금을 올릴 수도 있다. 그래서 위험부담 없이 돈을 번다. 영업사원이 되겠다던 윤석열 정부는 이렇게 공공재 철도를 민간자본에 팔고 있다!

 

또다시 적자 타령하는 한전

  한전이 전체 23천 명 중 2천 명을 감축하고, 자회사 지분 일부를 민간에 매각하려 한다. 적자가 너무 커 어쩔 수 없단다. 그러나 전기나 철도 같은 공공 부문은 소비자들의 요금 부담 때문에 적자를 감수하고 운영해 왔다. 그리고 50대 기업에 대한 5년간의 10조 원 할인, 천연가스 민간직수입자의 체리피킹(좋은 것만 골라내는 행위)이 한전 적자의 중요 원인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적자 운운하는 건 뻔한 수법이다. 공공부문 구조조정, 민영화라는 큰 방향을 세우고 정부와 각 공기업 사측이 발걸음을 맞춰 공격하고 있다. 공공부문 노동자도 단결해서 반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