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동자계급의 해방은 노동자계급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 칼 마르크스
철도 구로
 

철도 구로 현장신문 43호


  • 2025-07-01
  • 89 회

철도 구로 43호001.jpg

철도 구로 43호002.jpg

철도민영화 이어달리기, 멈춰라!

91일부터 국토부가 SR을 창원, 포항, 여수로도 보내겠다고 한다. 이는 단지 지역 주민 숙원 해결이 아니다. 철도 분할 민영화 수순이다. 10년 전 박근혜가 철도 분할 민영화를 위해 SR을 설립했는데 그 SR을 윤석열이 지금 키우고 있다. 민영화에 혈안인 자들은 제2, 3SR을 만들고, 철도를 직종별로 갈가리 쪼개 민간기업에 넘길 꿈을 꾸고 있다. 분할 민영화 행보는 한번 이뤄지면 되돌리기 어렵다. 분할 민영화에 맞서려는 철도노동자 투쟁은 너무나도 정당하다.

 

당연히 정당한 노조활동

아프면 쉴 권리투쟁 때 지부가 부소장을 규탄했던 것은 직장내 괴롭힘이 아니라고 고충심의위도 결론을 냈다. 당연하다. 인사파행, 현장통제를 일삼은 부소장이 가해자다. 거기에 맞서 싸운 것은 정당한 노동조합활동이다. 적반하장도 모자라, 합의 때 취하하기로 한 직장내 괴롭힘 신고도 끝까지 취하하지 않았다. 하지만 정의는 승리한다. 이번 결과처럼 말이다. 앞으로도 우리는 우리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당당히 활동해야 한다.

 

이런 열차가 선로에 돌아다닌다고?

우진 신조차 때문에 목, 허리 아프다는 사람들이 많다. 목받침 때문에 거북목이 돼 간다. 하지만 더 큰 문제가 있다. 주변환기가 죽는다. 그럴 때마다 열차를 교체해서 운행한다. 시운전 때부터 불안했는데 아직까지 운행을 시키는 게 이해가 안 된다. 공기 제동도 잘 안 잡힌다. 주변환기 문제, 제동 문제는 열차의 기본 기능이다. 기본도 안 된 열차가 선로에 돌아다니는 게 말이 되나.

 

줄 세우고 옥죄는 수단

올해도 기재부의 '답정너 경평'과 비슷한 코레일 내부 평가가 이뤄졌다. 각 역마다 상황이 전혀 다른데도 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으로 평가하고 일렬로 줄을 세운다. 평가 기준도 알려주지 않는 깜깜이 평가라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알 수가 없다!

기재부 경평은 기재부 맘대로 공공기관을 옥죄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 코레일 내부 평가도 마찬가지다! 공공서비스라는 목적을 잃은 채 평가만을 위한 평가를 잘 받기 위해 노력하는 건 도대체 누구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의미도 없고 합리적이지도 않은 이런 평가는 없어져야 한다.

 

코레일네트웍스 광역 역무원까지 시험 확대한다고?

주차 기간제 대상으로 필기시험을 보게 한다던 사측은 광역사업처 기간제, 무기계약직 대상으로 시험을 확대할 예정이다. 사측은 엑셀도 다룰 줄 모르는 기간제 사원 때문에 젊은 동료들이 힘들어하니 그런 사람들을 잘라야 한다.”는 발언도 서슴지 않고 하며 해고 시험을 기필코 도입하려고 한다. 인사권 쥐고 현장 통제 강화하고 쉽게 해고하겠다는 것 다 안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 기준 개선이라고 말 돌리지 마라!

 

2013 파업: 투쟁해야 여론도 바뀐다

  꼭 십 년 전인 2013년에도 올해처럼 정부 임기 초반에 파업에 들어갔다. 그때도 서슬 퍼런 새 정부에 맞서 파업하는 것은 부담이 컸다. 그렇지만 실제로 파업을 시작하자 많은 시민이 철도 분할 민영화의 위험성을 알게 되어 파업을 지지했다. 철도 파업은 박근혜 정부에 대한 분노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게 했다. 더 우호적인 여론을 만들기 위해서도, 철도노동자들이 직접 목소리를 내고 투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장신문 발간비 모금행사 안내

노동자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노동자의 힘으로 일할 맛 나는 현장, 살 맛 나는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한 현장신문! 이런 현장신문은 노동자가 정보를 주고, 동료들에게 전달하며, 후원할 때 제대로 만들 수 있습니다. 830() 오전 6시부터 910분까지 구로역에서 현장신문 다음 호를 배포하며 모금함도 들고 있겠습니다. 동전 하나, 1000원 한 장도 큰 감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