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동자계급의 해방은 노동자계급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 칼 마르크스
철도 구로
 

철도 구로 현장신문 21호


  • 2025-06-28
  • 68 회

철도 구로 21호001.jpg

 

철도 구로 21호002.jpg

 

[운전] 운전대는 우리가 잡고 있다

기관사들이 실제로 투쟁에 나서자 사측은 당황한 듯하다. 투쟁에 돌입하기도 전에 12명을 임시 파견하겠다고 급히 제안한 것만 봐도 그렇다. 그도 그럴 것이, 안전운행투쟁으로 하루 2,000~3,000개의 민원이 본사로 들어가고 있고, 매일 15개 정도의 미할당을 본사에서 채우고 있다. 그동안 구로 기관사들이 떠안고 있던 것을 이제야 진짜 책임이 있는 사측이 메우고 있다. 우리에겐 힘이 있다. 열차 운전대도, 투쟁 운전대도 우리가 잡고 있기 때문이다.

 

[운전] 순간순간 모면할 생각뿐이냐?

인력 부족은 하루 이틀 문제가 아니었는데, 사측은 그동안 제대로 노력하지 않았다. 지부가 투쟁을 선포하고 나서야 파견인력을 보내는 등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12월에는 파견인력이 철수한다고 한다. 연말에는 퇴직자와 전출자가 빠진다. 신입 기관사들이 언제 올지, 언제 혼자 열차를 탈 수 있을지 아무도 모른다. 사측은 발등의 불만 끄고 다시 잠잠해지기를 기다릴 속셈인가?

 

[운전] 방을 재탕한 탕비실

최근에 세탁방 겸 자는 방을 탕비실로도 쓰기로 했다. 기존 탕비실이 너무 열악했기에 이렇게나마 하나 더 생긴 건 다행이다. 하지만 세탁방 겸 자는 방으로도 쓰기에 음식 냄새를 조심해야 하고 밤 9시 이후에는 탕비실로 사용하지 못한다. 공간들이 부족하다 보니 사용 중인 공간을 재탕해야 한다. 인력이 충분히 필요하듯 공간도 충분히 필요하다.

 

[열차] 당연한 권리를 되찾는 투쟁, 지지한다

이번 안전운행투쟁을 보면서 기관사들의 연차 고충을 잘 알 수 있었다. 연차 신청하려고 줄을 길게 선 광경도 놀라웠다.

열차가 지연되면 차장에게도 불편이 따른다. 휴식시간이 줄거나 퇴근이 늦어지거나 민원이 들어온다. 그러나 같은 동료로서 안전운행투쟁을 지지한다. 무엇보다 휴가를 필요할 때 쓰는 건 당연한 권리다.

 

[역무] 인력 충원, 우리 모두의 요구

안전운행투쟁을 통해 그동안 기관사 동료들이 법으로 보장된 휴식권인 연차를 제대로 쓰지 못했다는 게 많이 알려졌다. 결국 인력 부족 때문인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철도 모든 직종에서 겪는 공통 문제이기도 하다.

어처구니없게도 정부와 코레일 경영진은 앞으로 인력을 더 줄이려 한다. 저들의 인력 감축 시도를 중단시키려면 투쟁이 불가피하다는 게 분명해지고 있다. 열차 지연으로 역무원에게 항의하는 승객이 늘었지만(그리고 이건 솔직히 고통스럽다), 인력 충원을 요구하는 정당한 투쟁에 지지를 보낸다.

 

[네트웍스] 성과급 차등 지급 반대한다

올해 코레일네트웍스 경영평가 결과는 B등급이다. 2020, 2021년은 사측의 잘못으로 성과급을 못 받았는데 올해는 150%를 받게 됐다. 그런데 2019년만 해도 균등 지급했던 성과급을 올해는 사측이 일방적으로 차등 지급하며 최고등급과 최저등급이 68만 원가량 차이가 난다. 특히 노조 간부들은 대부분 C, D등급이 나왔다. 업무 특성상 계량이 어려우니 현장 관리자가 감정적으로, 주관적으로 평가한 것 아닐까? 관리자 눈치 보며, 함께 일하는 동료와 갈등하게 하고, 노조 활동을 위축시키는 성과급 차등 지급 반대한다.

 

1,422명 감축? 1만 명 구조조정?

코레일이 1,422명 감축계획을 기재부에 제출했다고 한다. 코레일로지스(296), 코레일네트웍스(228), 코레일테크(127), 코레일관광개발(80)까지 합치면 철도노동자를 2,153명이나 감축할 셈인가 보다. 게다가 철도 유지보수(8,638)와 관제(중앙 관제와 로컬 관제 1,700여 명)를 이관하면(철도공단 산하 자회사나 민영화까지 거론된다고 한다) 1만 명을 구조조정하는 셈이다. 철도를 더 갈가리 쪼개고, 철도노동자의 고용·임금·복지를 뒤흔들겠다는 건가?

 

600억 도둑

여기 말 한마디로 600억 훔치는 도둑 있다. 바로 정부다. 기재부는 예비비에서 지급하던 통상임금 소송액(22년도 614)을 올해부터 총인건비에서 지급하라고 지침을 바꿨다. 임금가이드라인(올해 1.4%)으로 총인건비를 통제하면서, 그 안에서 통상임금 추가분까지 해결하라고? 사실상 통상임금을 떼먹겠다는 말이다. 통상임금을 올핸 200억 줄이고, 내년엔 400억 줄이며, 내후년엔 600억 다 없앤다고? 칼만 안 들었지 날강도가 따로 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