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은 두 가지뿐 - 병들어 죽거나 굶어 죽거나
[미국] 정치인들이 경제를 어떻게 다시 가동할 것인지 토론하고 있는데, 우리에게 주어진 선택은 두 가지뿐이다. 다시 일하러 가서 병들어 죽을 위험에 처하거나, 아니면 일자리를 갖고 있더라도 우리 일자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 집에 갇혀서 굶어 죽을 위험에 처하는 것.
자본주의가 우리한테 준 선택지는 오직 이 둘뿐이다. 두 가지 분명한 악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는 것이다. 다른 선택지는 전혀 없다.
사람들은 다시 일하러 가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를 당연히 걱정하고 있다. 이른바 필수 산업의 노동자들한테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보았기 때문이다. 한때 디트로이트의 경찰 거의 절반이 자가 격리됐다. 바이러스가 아주 광범위하게 퍼졌기 때문이다. 경찰 자신들만이 아니라 그 가족들도 격리됐다. 아버지가 디트로이트 소방관이고, 어머니가 디트로이트 경찰인 다섯 살 소녀가 바이러스에 감염돼 죽었다. 다섯 살 소녀가 말이다.
그런 필수 노동자들은 목숨 걸고 일하도록 강요당했다. 소방관이나 경찰만이 아니라 간호사, 의사, 슈퍼마켓 노동자, 물류창고 노동자, 트럭운전사, 운송할 물품을 생산하는 공장노동자들, 공공운수노동자들이 그랬다. 필수노동자와 그 가족들의 사망자 숫자는 더 많은 노동자가 현장에 복귀했을 때 무슨 일이 벌어질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제 여러 작업장이 하나씩 다시 가동되기 시작하면, 더 많은 노동자가 모르모트[실험동물]가 될 것이다. 얼마나 많이 죽을지 사회를 운영하는 자들이 알 수 있도록 시험 대상이 되는 인간 모르모트.
하지만 사람들은 휴업이 지속될 때 벌어질 일에 대해서도 당연히 걱정한다. 이미 2,260만 노동자가 실업급여를 새로 청구했다. 그 전에 이미 710만 명이 실업상태에 있었다. 일자리가 없는 다른 많은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은 이런 수치들만 사용해도, 실업률은 1930년대 대공황 당시 가장 나빴던 때만큼 높다.
트럼프 정부가 주겠다고 약속한 재난지원금 1,200달러는[약 147만 원] 우리가 곤경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그 돈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 중 거의 절반만 돈을 수령할 수 있었다. 실업수당을 전액 받은 사람은 거의 없다. 수십만 명은 아직까지 서류도 제출할 수 없었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그 돈을 받는다고 해도, 그건 일시적일 뿐이다. 가장 나은 경우라도, 그걸로는 주거비, 식료품비, 기타 필수품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재난지원금으론 근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근본적 문제란 대중에게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지 않는 사회, 일자리가 없는 사회는 오래 지속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우리에겐 좋은 선택지가 없다. 일하다 병에 걸려 죽거나, 생계를 해결할 수 없어 굶어 죽을 위험뿐이다.
사실, 다른 선택지가 있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그걸 제공하지 않는다. 자본주의 이윤욕 때문에 사회는 신형 바이러스의 등장에 전혀 대비하지 못했다. 의학은 신형 바이러스에 어떻게 맞서야 할지 안다. 하지만 연구하려면 돈이 필요하다. 병이 전염병으로 발전하는 걸 막을 장비를 생산하는 데 돈이 필요하듯 말이다. 하지만 돈은 이런 인류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쓰이지 않았다. 대신 이윤을 불리기 위해서만 사용됐다.
우리가 다시 일하러 간다면, 우리의 안전이 한 번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 일터로 돌아가는 것이다. 생산과정에서 이윤을 더 짜내기 위해 돌진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산재로 죽어갔는가? 노동강도가 높아져 얼마나 많은 사람이 심장마비로 요절했는가? 바이러스가 있을 때든 없을 때든 이런 일이 날마다 벌어진다. 자본주의는 항상 죽음을 동반한다.
물론 생명은 언젠가는 반드시 죽는다. 하지만 자본주의에서는 이윤 탐욕 때문에 불필요한 죽음이 반드시 발생한다.
자본가들이 경제를 통제하는 걸 멈춰 세워야 한다. 이런 인간적인 선택은 노동자들의 손에 달려 있다. 노동자들은 생산을 담당하고 있기에 힘이 있다. 우리는 경제에 대한 자본가들의 통제권을 제거할 수 있다. 그래서 안전하게 일하고, 생계를 안정적으로 보장받는 것을 포함해 사람들의 필요를 우선에 두는 사회를 조직하기 시작할 수 있다.
출처: 미국 혁명적노동자조직 스파크 신문, 2020년 4월 26일자
<노동자투쟁> 온라인 기사